728x90
반응형

Python 31

백준(baekjoon) 4344번 평균은 넘겠지 | 파이썬 Python

문제 대학생 새내기들의 90%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.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. 입력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(1 ≤ N ≤ 1000, N은 정수)이 첫 수로 주어지고,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.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,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 출력 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 입력 예제 5 5 50 50 70 80 100 7 100 95 90 80 70 60 50 3 70 90 80 3 70 90 81 9 100 99 98 97 96 95 94 93 91 출력 예제 40.000% 57.143% 33.333% ..

Algorithm/백준 2021.02.11

백준 3052번 나머지 - 각 숫자가 몇번 나왔는지 저장 | 파이썬 python

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, A%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. 예를 들어, 7, 14, 27,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, 2, 0, 2이다.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,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.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예시1 1 2 3 4 5 6 7 8 9 10 출력 예시1 10 입력 예시2 42 84 252 420 840 126 42 84 420 126 출력 예시2 1 풀이 rest=[] for i in range(10): rest.append(int(input())%42) print(len(set(rest)))#set을 활용하여 중복값 제거 *Set - 집합* -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며 순서가 없음(순서가 없으므로 인덱..

Algorithm/백준 2021.02.11

백준 2577번 숫자의 개수 세기 | 파이썬 python

문제 세 개의 자연수 A, B, C가 주어질 때 A × B ×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예를 들어 A = 150, B = 266, C = 427 이라면 A × B × C = 150 × 266 × 427 = 17037300 이 되고,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, 1이 1번, 3이 2번, 7이 2번 쓰였다. 예제 입력 150 266 427 예제 출력 3 1 0 2 0 0 0 2 0 0 풀이 lst=[]#배열 초기화 for i in range(3): lst.append(int(input()))#자연수 A, B, C를 배열에 추가 n=str(lst[0]*lst[1]*lst[2])#자연수 A, B, C를 곱함 for j i..

Algorithm/백준 2021.02.11

코드업(CodeUp) 기초100제 1099 성실한 개미 풀이 | Python-2차원 배열

벌써 마지막이네요! 1099번은 성실한 개미입니다 고쳐야할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:) 1099 : [기초-2차원배열] 성실한 개미 문제 설명 영일이는 생명과학에 관심이 생겨 왕개미를 연구하고 있었다. 왕개미를 유심히 살펴보던 중 특별히 성실해 보이는 개미가 있었는데, 그 개미는 개미굴에서 나와 먹이까지 가장 빠른 길로 이동하는 것이었다. 개미는 오른쪽으로 움직이다가 벽을 만나면 아래쪽으로 움직여 가장 빠른 길로 움직였다. (오른쪽에 길이 나타나면 다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.) 이에 호기심이 생긴 영일이는 그 개미를 미로 상자에 넣고 살펴보기 시작하였다. 미로 상자에 넣은 개미는 먹이를 찾았거나,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오른쪽 또는 아래쪽으로만 움직였다. 미로 상자의 구조가 0(갈 ..

코드업(CodeUp) 기초100제 1098 풀이 | Python

1098 : [기초-2차원배열] 설탕과자 뽑기 문제 설명 부모님과 함께 유원지에 놀러간 영일이는 설탕과자(설탕을 녹여 물고기 등의 모양을 만든 것) 뽑기를 보게 되었다. 길이가 다른 몇 개의 막대를 바둑판과 같은 격자판에 놓는데, 막대에 있는 설탕과자 이름 아래에 있는 번호를 뽑으면 설탕과자를 가져가는 게임이었다. (잉어, 붕어, 용 등 여러 가지가 적혀있다.) 격자판의 세로(h), 가로(w), 막대의 개수(n), 각 막대의 길이(l), 막대를 놓는 방향(d:가로는 0, 세로는 1)과 막대를 놓는 막대의 가장 왼쪽 또는 위쪽의 위치(x, y)가 주어질 때, 격자판을 채운 막대의 모양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. 입력 첫 줄에 격자판의 세로(h), 가로(w) 가 공백을 두고 입력되고, 두 번째 줄에 ..

코드업(CodeUp) 기초100제 1096~1097 풀이 | Python

1096 : [기초-2차원배열] 바둑판에 흰 돌 놓기 문제 설명 기숙사 생활을 하는 학교에서 어떤 금요일(전원 귀가일)에는 모두 집으로 귀가를 한다. 오랜만에 집에 간 영일이는 아버지와 함께 두던 매우 큰 오목에 대해서 생각해 보다가 "바둑판에 돌을 올린 것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을까?"하고 생각하였다. 바둑판(19 * 19)에 n개의 흰 돌을 놓는다고 할 때, n개의 흰 돌이 놓인 위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참고 가로번호, 세로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2차원 배열을 사용하면 이러한 형태를 쉽게 기록하고 사용할 수 있다. 물론 더 확장한 n차원 배열도 만들 수 있다. 입력 바둑판에 올려 놓을 흰 돌의 개수(n)가 첫 줄에 입력된다. 둘째 줄 부터 n+1 번째 줄까지 힌 돌을 놓을 좌표(x, y..

코드업(CodeUp) 기초100제 1081~1095 풀이 | Python

1081 : [기초-종합] 주사위를 2개 던지면? n,m=input().split() n,m=int(n),int(m) for i in range(1,n+1): for j in range(1,m+1): print(i,j) 1082 : [기초-종합] 16진수 구구단? a=input() a_10=int(a,16) for i in range(1,16): print("%s*%X=%X"%(a,i,a_10*i)) 1083 : [기초-종합] 3 6 9 게임의 왕이 되자! a=int(input()) for i in range(1,a+1): if i%3==0: print("X", end=" ") else: print(i, end=" ") 1084 : [기초-종합] 빛 섞어 색 만들기 r,g,b=input().split()..

코드업(CodeUp) 기초100제 1061~1080 풀이 | Python

1061 : [기초-비트단위논리연산] 비트단위로 OR 하여 출력하기 a,b=input().split() a,b=int(a),int(b) print(a|b) 1062 : [기초-비트단위논리연산] 비트단위로 XOR 하여 출력하기 a,b=input().split() a,b=int(a),int(b) print(a^b) 1063 : [기초-삼항연산] 두 정수 입력받아 큰 수 출력하기 a,b=input().split() a,b=int(a),int(b) print(a) if a>b else print(b) 1064 : [기초-삼항연산] 정수 3개 입력받아 가장 작은 수 출력하기 a,b,c=input().split() a,b,c=int(a),int(b),int(c) print(a) if (a

코드업(CodeUp) 기초100제 1041~1060 풀이 | Python

1041 : [기초-산술연산] 문자 1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 a=ord(input()) print(chr(a+1)) *아스키코드 관련* ord(): 문자를 아스키코드로 출력해주는 함수 chr(): 아스키코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해주는 함수 1042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몫 출력하기 a,b=input().split() a,b=int(a),int(b) print(a//b) 1043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나머지 출력하기 a,b=input().split() a,b=int(a),int(b) print(a%b) 1044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1개 입력받아 1 더해 출력하기 a=int(input()) a+=1 print(a) 1045 : [기초-산술연..

코드업(CodeUp) 기초100제 1021~1040 풀이 | Python

1021 : [기초-입출력] 단어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ch=input() print(ch) 1022 : [기초-입출력] 문장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 ch=input() print(ch) 1023 : [기초-입출력] 실수 1개 입력받아 부분별로 출력하기 n, f=input().split(".") print("%s"%(n)) print("%s"%(f)) 1024 : [기초-입출력] 단어 1개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 n=input() for i in n: print("'%s'"%i) 1025 : [기초-입출력] 정수 1개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 n=input() a=10000 for i in n: i=int(i) print("[%d]"%(i*a)) a=a/10 1026 : [기초-입출력]..

728x90
반응형